장폭고
장(가로)×폭(세로)×고(높이)를 뜻하는 패키지 박스 업계의 표준 표기입니다. 정확한 견적 산출, 전개도(칼선) 설계, 완충재·내지 설계, 물류비 계산(부피·박스 규격) 의 출발점이 되므로, 반드시 mm 단위로 개발해야 합니다.
지기구조인쇄색상디자인

장폭고란?🔗
패키지 제작에서 가장 잦은 수정·재견적의 원인은 사이즈 정보의 모호함입니다. “화장품박스 하나 만들어주세요”라고 해도 장·폭·고가 명확하지 않으면 전개도 설계와 견적이 반복적으로 오가게 됩니다.
- 장(가로, Length): 입구 면에서 가장 긴 변
- 폭(세로, Width): 입구 면에서 짧은 변
- 고(높이, Height/Depth): 입구에서 바닥까지의 깊이
핵심 규칙🔗
- 입구 기준으로 측정하고 표기한다.
- 단위는 mm로 통일한다.
- 의사소통을 위해 내부치수(내경)인지, 외부치수(외경)인지를 함께 적는다.
- 소재 두께(예: 골판 골 두께, 회색보드+합지)와 접착·코팅 등에 따라 완성 치수의 공차가 생길 수 있으므로, 제품 핏이 중요하면 내부치수 기준을 권장한다.
패키지 종류별 측정 및 표기🔗
- 단상자(화장품박스 등): 입구 면의 긴 변 → 짧은 변 → 깊이 순으로 표기.
- 싸바리/합지박스: 보드·합지 두께가 외경에 더해지므로 내부치수 표기가 안전.
- 골판지 박스: 골 종류에 따라 내·외경 차이가 커질 수 있어 내부치수 권장.
- 원형/튜브: 일반적으로 지름 × 고로 표기(필요 시 내·외경 구분).
표기 예시🔗
- 단상자: 50 × 35 × 120 mm (내부)
- 골판지·합지 패키지: 230 × 170 × 90 mm (내부)
- 싸바리 패키지: 180 × 140 × 70 mm (내부)
자주 틀리는 포인트🔗
- 장↔폭 순서를 바꾸거나, 바닥 면을 기준으로 측정함
- 단위 표기 누락, 내부/외부 기준 미기재
- 소재 두께·완충재 공간을 고려하지 않아 실제 제품이 들어가지 않는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