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로그인
용어 사전으로 돌아가기

장폭고

장(가로)×폭(세로)×고(높이)를 뜻하는 패키지 박스 업계의 표준 표기입니다. 정확한 견적 산출, 전개도(칼선) 설계, 완충재·내지 설계, 물류비 계산(부피·박스 규격) 의 출발점이 되므로, 반드시 mm 단위로 개발해야 합니다.

지기구조인쇄색상디자인
장폭고

장폭고란?🔗

패키지 제작에서 가장 잦은 수정·재견적의 원인은 사이즈 정보의 모호함입니다. “화장품박스 하나 만들어주세요”라고 해도 장·폭·고가 명확하지 않으면 전개도 설계와 견적이 반복적으로 오가게 됩니다.

  • 장(가로, Length): 입구 면에서 가장 긴 변
  • 폭(세로, Width): 입구 면에서 짧은 변
  • 고(높이, Height/Depth): 입구에서 바닥까지의 깊이

핵심 규칙🔗

  1. 입구 기준으로 측정하고 표기한다.
  2. 단위는 mm로 통일한다.
  3. 의사소통을 위해 내부치수(내경)인지, 외부치수(외경)인지를 함께 적는다.
  4. 소재 두께(예: 골판 골 두께, 회색보드+합지)와 접착·코팅 등에 따라 완성 치수의 공차가 생길 수 있으므로, 제품 핏이 중요하면 내부치수 기준을 권장한다.

패키지 종류별 측정 및 표기🔗

  • 단상자(화장품박스 등): 입구 면의 긴 변 → 짧은 변 → 깊이 순으로 표기.
  • 싸바리/합지박스: 보드·합지 두께가 외경에 더해지므로 내부치수 표기가 안전.
  • 골판지 박스: 골 종류에 따라 내·외경 차이가 커질 수 있어 내부치수 권장.
  • 원형/튜브: 일반적으로 지름 × 고로 표기(필요 시 내·외경 구분).

표기 예시🔗

  • 단상자: 50 × 35 × 120 mm (내부)
  • 골판지·합지 패키지: 230 × 170 × 90 mm (내부)
  • 싸바리 패키지: 180 × 140 × 70 mm (내부)

자주 틀리는 포인트🔗

  • 장↔폭 순서를 바꾸거나, 바닥 면을 기준으로 측정함
  • 단위 표기 누락, 내부/외부 기준 미기재
  • 소재 두께·완충재 공간을 고려하지 않아 실제 제품이 들어가지 않는 문제

관련 용어

골판지·합지
골판지·합지
골판지 위에 인쇄지 또는 수입지 등 다른 종이와 골판지를 합지해 충격 안화 및 패키지 디자인이 적용된 박스입니다. 대표적으로 음료포장박스나 한약박스가 있습니다.
단상자
단상자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상자로서 마닐라지로 제작된 박스를 단상자 혹은 마닐라 박스라고 합니다. 그중에서도 화장품 박스, 약품 박스, 식품 박스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상자가 단상자입니다. 단박스는 맞뚜껑형, 십자조립형, 삼면접착형 총 3가지 바닥 형태가 있으며, 제품의 무게 또는 특성에 따라 선택하여 제작합니다.
망점
망점
제한된 색상으로 다양한 색조와 톤을 표현하기 위해 잉크가 묻은 미세한 점의 크기·간격·각도로 배열해 밝고 어두움을 표현하는 스크리닝 기술입니다. 인쇄(오프셋, 플렉소)에서는 망점의 종류(AM/FM/하이브리드), 선수(LPI), 스크린 각도, 도트 형태가 색 품질·세부 표현·모아레·도트게인(번짐)에 직접 영향을 줍니다.
맞뚜껑
맞뚜껑
뚜껑이 서로 마주 보며 닫히는 구조를 통칭합니다. 실무에서는 두 가지로 쓰입니다. ① 단상자에서 윗·아랫면이 모두 동일한 '턱인(tuck-in)' 형태로 단상자의 기본 형태 ② 2단 싸바리 패키지에서의 뚜껑.
삼면접착형
삼면접착형
옆면에만 접착이 들어가는 맞뚜껑, 십자조립형 박스와 달리 바닥까지 접착이 되기 때문에 무게가 많이 나가는 제품을 포장하거나 보다 안전한 박스제작을 원할 때 추천드리는 바닥형태입니다. 다만, 접착 비용이 추가됩니다.
십자조립형
십자조립형
바닥을 십자형으로 조립할 수 있는 형태를 말합니다. 맞뚜껑 바닥보다 튼튼하기 때문에 무게가 나가거나 빠질 우려가 있는 제품을 담을 때 추천드리는 바닥형태입니다.
제작·견적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