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심지
골판지의 가운데 물결층(골)을 이루는 원지로, 포장 판지의 강성·완충을 크게 높입니다. 골은 ‘피치(간격/30cm당 골수)’와 ‘높이(두께)’로 구분하며, 원료는 SCP(반화학), 특(고지), 황(볏짚), 크라프트 골심지 등으로 나뉩니다.
판지골지단보루포장재종이표면지라이너지이면지하지

정의🔗
골심지(골지)는 골판지 구조(표면지–골심지–이면지)의 가운데 파상(물결)층을 만드는 원지입니다. 라이너지(표면지·이면지) 사이에 들어가 강도를 높이고 완충(쿠션) 역할을 수행합니다.
역할·효과🔗
- 판지 강화(강성·압축 보강): 파상 구조가 라이너지와 함께 구조 강성을 높여 상자 변형을 줄입니다.
- 충격 흡수: 물결층이 완충성을 제공해 내용물을 보호합니다.
원료별 분류🔗
- SCP 골심지: SCP(Semi-Chemical Pulp) 기반의 반화학 골심지. 대표적 표준 등급으로 폭넓게 사용.
- 특골심지(Repulped/Recovered Medium): 고지(폐지) 펄프 중심. SCP 대비 강도가 낮아 평량 증가나 약품 보강으로 보완.
- 황 골심지: 볏짚 펄프 등을 혼합해 만든 전통적 골심지 계열.
- 크라프트 골심지: 크라프트 계열 원료가 주성분인 골심지.
골 종류와 구분 기준🔗
골심지는 골 간격(피치)과 골 높이로 구별합니다. 국내 규격 표기에는 30cm당 골수(=피치의 역수 개념)와 골높이가 함께 쓰입니다. 예를 들어:
- A골: 골높이 약 4.5–4.8 mm, 골수 34 ± 2/30 cm
- B골: 골높이 약 3 mm, 골수 50 ± 2/30 cm
- C골: 골높이 약 3.5–3.8 mm, 골수 40 ± 2/30 cm
- E골: 골높이 약 1.0–1.5 mm, 골수 93 ± (2~5)/30 cm
또한 일부 표준표에는 ‘골 간격(피치, mm)’ 수치가 병기되므로, 설계·검수 시 골수/30cm·골높이·골간격 3요소를 함께 확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