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로그인
용어 사전으로 돌아가기

가늠표

4도·별색 인쇄나 양면 인쇄에서 앞·뒤·각 색판의 위치를 정확히 맞추기 위한 등록(레지스터) 기준표시입니다. 보통 재단영역 바깥의 여백/도련(bleed) 쪽에 배치하며, 십자(+)·원형 타겟·잠자리(≠) 등 형태로 인쇄되어 인쇄기에서 핀트(맞춤)를 잡고 품질을 관리합니다. 칼선과 용도가 다릅니다.

인쇄맞춤표돈보돔보레지스터마크
가늠표

가늠표란?🔗

가늠표는 각 색판(C/M/Y/K)과 앞·뒷면 인쇄의 상대 위치 오차를 눈으로 즉시 판별하고, 인쇄기에서 핀트(맞춤) 을 미세 조정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인쇄 중 종이의 수축/팽창, 급지 오차 등으로 생기는 오차를 가늠표의 겹침 상태(교차점·원형 타겟의 동심 일치 등)를 보고 보정합니다.

어떻게 배치하나🔗

  • 칼선 바깥에 두어 완제품에는 노출되지 않게 함.
  • 좌/우 혹은 상/하 대칭 배치로 뒤틀림·기울기 판단에 유리.
  • 컬러바(잉크 농도/그레이 밸런스용)와 함께 운영하는 경우가 많음.

형태별 메모🔗

  • 십자(+)형: 가장 기본. 교차점 일치로 정렬 확인.
  • 타겟(원형+십자): 미세한 편심·스큐(skew) 확인이 용이.
  • 잠자리(≠/코너라인 포함): 코너 기준과 센터 기준을 함께 제공.
  • 센터 마크: 중앙 정렬·제책/접지 기준 확인용 보조 마크.

칼선과 차이🔗

  • 가늠표(돈보/돔보): 맞춤/등록용 — 색판·양면 정합 확인 및 보정.
  • 칼선: 자르는 위치 안내 — 따냄기의 가이드.

주의사항🔗

  • 재단선 안쪽으로 절대 침범하지 않게 오프셋 간격 확보.
  • 파일 제작 시 별도 레이어/스폿 컬러(Registration) 로 관리하면 판마다 동일 인쇄.
  • 소형물·광택지 등에서는 마크 과다 사용 시 비침/노출 가능 → 최소한으로.
  • 양면물은 앞·뒤 동일 좌표에 배치해 정합 판단을 쉽게.

관련 용어

도수
도수
인쇄 시 사용되는 색의 단위를 '도'라고 표시합니다. 1도는 1가지 색상, 2도는 2가지 색상으로 인쇄하는 것을 말하며 보통 CMYK로 인쇄할 때 4도 인쇄 또는 컬러인쇄라고 표현합니다.
망점
망점
제한된 색상으로 다양한 색조와 톤을 표현하기 위해 잉크가 잉크가 묻은 미세한 점의 크기·간격·각도로 배열해 밝고 어두움을 표현하는 스크리닝 기술입니다. 인쇄(오프셋, 플렉소)에서는 망점의 종류(AM/FM/하이브리드), 선수(LPI), 스크린 각도, 도트 형태가 색 품질·세부 표현·모아레·도트게인(번짐)에 직접 영향을 줍니다.
별색
별색
CMYK 이외의 다른 색을 뜻합니다. 인쇄물의 색깔은 CMYK 색이 겹쳐져서 표현되지만 별색은 처음부터 색을 만들어서 사용하게 됩니다. 보통 금색, 은색, 형광색 등 색 혼합으로 표현할 수 없을 때 별색 잉크를 사용하고, 또한 조금 더 정교한 색을 원할 때 직접 잉크를 혼합하여 색을 만들어 표현합니다.
실크 스크린
실크 스크린
공판인쇄방식으로써 틀에 견포(絹布)나 기타 스크린을 걸고 수작업 혹은 사진원리의 방법에 의해 화상 이외 부분의 스크린 결을 막고 잉크를 압출 투과하여 종이에 인쇄하는 방법입니다. 과거에는 실크망사를 사용했기 때문에 실크 스크린 인쇄라고 불렀는데 최근에는 나일론, 테트론, 스테인레스 스틸 망사를 사용하기 때문에 스크린 인쇄라고 합니다.
오프셋
오프셋
인쇄판(CTP)과 고무롤러를 사용하여 상자제작에 필요한 종이에 인쇄하는 기본 인쇄방식입니다. 인쇄판에 직접 닿지 않는 인쇄방식이기 때문에 손상이 적으며 다소 거친종이에도 고무의 탄성으로 인쇄가 가능하여 퀄리티높은 제작이 가능합니다.
친환경지
친환경지
종이 포장박스에 쓰이는 지류 중 원료·제조·사용·회수 단계에서 환경 영향을 줄이도록 설계된 용지군입니다. 대표적으로 FSC/PEFC 인증 버진 섬유, 재생섬유(특히 소비자 사용 후, PCW%), 비목재 대체섬유(사탕수수·대나무 등), 무형광(OBA-free)·ECF/TCF 같은 저화학 공정, PFAS-free 수성 바리어 코팅 등으로 재활용성·자원 효율·안전성을 높입니다. 단일 기준이 아닌 요소들의 ‘조합’으로 판단하며, 라벨·함량·시험성적서 등 근거를 함께 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작·견적문의